컴퓨터구조_ 소스코드와 명령어

2025. 2. 4. 09:02컴퓨터구조

고급언어와 저급언어

저급언어

  • 기계어
    명령어로 이루어진 언어
    컴퓨터를 위한 언어
    • 어셈블리어
      기계어를 번역한 저급언어
      (소스코드에 직접적 명시를 하기도 한다)

고급언어

프로그램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언어
변환방식 : 고급언어 -> 저급언어

  • 컴파일
    컴파일러를 통해 컴파일을 하는 과정
    (코딩 -> 디코딩, 소스코드 -> 목적코드(원시코드))
    한번에 변환
    오류 검출 시 컴파일 에러
  • 인터프리트
    인터프리터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한 변환 방식
    한줄씩 변환
    오류 검출 시 직전 코드까지 실행

컴퓨터의 정보의 단위는 비트로, 0과 1로 이루어진 기계어를 이해한다. 그러나 인간이 0과 1만으로 컴퓨터에게 명령을 하기에는 효율성과 생산적 측면에서 어렵다. 따라서 인간은 고급언어를 사용해서 컴퓨터에게 명령을 하면 몇가지 과정을 거쳐 고급언어가 저급언어로 변환된 후에 컴퓨터는 명령어를 실행한다. 

 

이때 저급언어란, 컴퓨터를위한 언어로 기계어라고도 한다. 그리고 그 위의 단계의 언어로 어셈블리어가있다. 어셈블리어는 기계어와 고급언어의 사이에 위치한 언어이다. 고급언어는 프로그램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언어로 흔히 프로그래밍 언어들이 고급언어이다. 따라서 고급언어는 컴퓨터와 소통을 하기위한 인간 중심의 언어라고 할 수 있다. 

 

고급언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저급언어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과정으로는 컴파일과 인터프리트 방식이 존재한다. 컴파일은 컴파일를 통해 컴파일을 하는 과정이다. 이때 소스코드 전체를 한번에 변환하여 오류검출 시 컴파일 에러를 반환한다. 인터프리트는 인터프리터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한 변환 방식으로 소스코드를 한줄씩 변환하여 오류 검출 시 직전 코드까지만 실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