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구조_컴퓨터구조의 큰그림
2025. 2. 3. 09:35ㆍ컴퓨터구조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
데이터 | 정적인 정보 |
---|---|
명령어 | 컴퓨터의 동작을 지시하는 언어 |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는 2가지로 나뉜다. 데이터는 정적인 정보로 기호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졌다. 명령어는 컴퓨터의 동작을 지시하는 언어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컴퓨터는 이와 같은 2가지 정보들 이해할 수 있다.
컴퓨터의 주요 4가지 핵심부품
컴퓨터에는 4가지 핵심부품들을 통해서 동작한다. 이를 차례로 설명하겠다.
CPU는 컴퓨터의 뇌의 역할을 하는 부품이다. 때문에 산술연산이 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해석 및 실행한다. 이때, cpu 내부에 있는 ALU를 총해서 산술연산을 하며 제어장치를 통해 제어신호를 보내고 받는다.
- CPU
컴퓨터의 뇌.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해석 및 실행한다- 구성
ALU: 산술연산장치
제어장치: 제어신호를 보내고 명령어를 해석하는 장치
레지스터: 임시저장장치
- 구성
메모리는 프로세스를 저장한다. 프로세스란, 현재 실행이 되고있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RAM과 ROM은 메모리의 종류로 RAM은 휘발성 메모리인 반면 ROM은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보조기억장치는 (비휘발성)영구적으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때문에 데이터의 장기적 저장 및 보존에 쓰이며 예시로 SSD, USB 등이 있다.
입출력장치는 컴퓨터와 정보를 주고받는 장치이다. 예시로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등이 있다.
- 메모리
프로세스를 저장. 페이징 주소를 할당
예) RAM,ROM - 보조기억장치
실행되니 않는 프로그램을 저장 - 입출력장치
컴퓨터와 정보를 주고받는 장치
그 외의 부품들
- 메인보드
4가지 부품들을 연결하는 판 - 버스
메인보드체에 연결된 부품들의 신호가 이동하는 통로- 시스템버스
주소보스) 주소를 주고 받는다
데이터버스)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제어버스) 제어신호를 주고 받는다
- 시스템버스
용어 정리
휘발성 저장장치: 메모리 = 실행할 프로세스 정보 저장
비휘발성 저장장치: 보조기억장치 = 보관할 정보 저장
'컴퓨터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구조_C언어의 컴파일 과정 (0) | 2025.02.27 |
---|---|
컴퓨터구조_명령어의 형태 (0) | 2025.02.04 |
컴퓨터구조_ 소스코드와 명령어 (0) | 2025.02.04 |
컴퓨터구조_0과 1로 문자를 표현하는 방법 (0) | 2025.02.04 |
컴퓨터구조_0과 1로 숫자를 표현하는 방법 (0)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