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 스토리(3)
-
컴퓨터공학론 개요
1. 세대별 컴퓨터의 분류 컴퓨터의 세대를 분류하는 기준으로는 연도, 크기. 회로,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등이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회로(반도체)를 기준으로 컴퓨터의 세대를 분류한다. 1세대) 1951 ~ 1958 Ex: 에니악, 에드박, IBM 6501세대는 ‘진공관’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열이 많고 프로그래밍이 어려운 단점 등이 존재하였다. 주기억장치는 자기 드럼을 보조기억장치는 천공카드를 사용하였고 프로그램은 기계어를 사용하여 작성했다. 하드웨어 개발에 중점을 둔 시기로 일괄처리 시스템에 중점을 두었다. 왼) 애니악 오) 폰 노이만과 에드박2세대) 1958 ~ 1963 Ex: IBM1401, 7070, 유니박 1107, CDC 30002세대는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였다..
2025.02.04 -
컴퓨터의 역사
컴퓨터의 등장배경 컴퓨터란, 기억과 계산 등의 일을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해주는 기계이다. 동시에 명령에 따라 여러가지 일을 한번에 처리해 주는 전산장치이다. 즉, 오늘날의 컴퓨터의 의미는 계산, 기억, 분류, 비교 등 여러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기계이다. 그러나 초기의 컴퓨터는 ‘계산을 수행하는 장치로만 사용되었다. 인류역사상 최초의 계산도구인 주판은 고대 중국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수동적인 방식과 여전히 인간의 두뇌에 의존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한 최초의 기계식 수동 계산기는 ‘파스칼의 톱니바퀴 계산기’이다. 회전원리를 이용해 가감산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덧셈과 뺄셈 이외의 연산은 불가능 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독일의 수학자 빌헬름 라이프니츠가 ‘라..
2025.02.04 -
KH정보교육원 0일
2/6 ~ 7/22 동안 부트캠프 일정이 있다.부트캠프 등록 과정이 생각 보다 복잡해서 정리하는 글을 써 본다.목적나는 내일배움카드 먼저 알고 난 후 훈련관을 알아본 케이스이다.it분야에서 사설기업에서 운영하는 유명한 부트캠프도 많다 (싸피, 네이버 등). 다만 내 목적은 학부 내에서 석차 10위안에 드는 것이지 취업이 목적이 아니였다. 그냥 대학생활만 열심히해서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초중고부터 공부해온 친구들, 재능이 타고난 친구들이 너무 많았기 때문에 휴학을 해서라도 어느정도 스킬업을 한 후에 경쟁하는것이 좋겠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국비지원으로 내 돈 하나도 안들고 코테없이 바로 배울 수 있는 훈련관을 찾았고 그 중 3대 국비캠프에 해당하는 kh정보교육원(강남)에 상담받았다.2. 상담나는 자바 개발..
2025.02.04